1308년 충선왕의 개혁 – 원나라의 그늘 아래 좌절된 꿈

   

1308년 충선왕의 개혁, 원나라의 그늘 아래 좌절된 꿈 서기 1300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이 남긴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고려는 원나라라는 거대한 제국의 그늘 아래 신음하고 있었습니다. 왕은 원나라 황제의 사위가 되어야 했고, 정동행성은 여전히 남아 내정을 간섭했습니다. 이 시기, 고려의 정치는 원나라와의 관계에 따라 좌우되었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지배층이 등장하니 바로 ‘권문세족(權門勢族)’입니다. 오늘 이야기는 이 … Read more

1281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비극

   

1281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비극 1281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비극 서기 1280년, 30년에 걸친 몽골과의 처절한 전쟁이 끝난 고려의 땅에는 평화가 아닌 새로운 멍에가 드리워져 있었습니다. 고려는 원나라의 부마국(駙馬國), 즉 사위의 나라가 되어 자주성을 잃었고, 대륙을 통일한 원나라 황제 쿠빌라이 칸의 거대한 야망에 희생양이 되어야 했습니다. 몽골의 칼날을 막아내기 위해 싸웠던 고려의 아들들은 … Read more

1251년 팔만대장경 완성 – 잿더미 속에서 피어난 호국의 염원

   

1251년 팔만대장경 완성 – 잿더미 속에서 피어난 호국의 염원 1251년 팔만대장경 완성, 잿더미 속에서 피어난 호국의 염원 서기 1250년, 고려의 땅은 거대한 제국 몽골의 말발굽 아래 신음하고 있었습니다. 1232년, 최씨 무신정권이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항전을 결의한 이래, 고려 본토는 수십 년간 반복되는 침략으로 잿더미가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왕과 지배층은 섬 안에 고립되어 있었고, 육지의 백성들은 기약 … Read more

1209년 교정도감 설치 – 최충헌의 철권 통치가 시작되다

   

1209년 교정도감 설치 – 최충헌의 철권 통치가 시작되다 1209년 교정도감 설치, 최충헌의 철권 통치가 시작되다 서기 1200년, 고려는 만적의 외침이 허공으로 흩어진 뒤, 숨 막히는 침묵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었습니다. 이의민과 같은 천출(賤出) 권력자가 몰락하고,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느냐”는 노비들의 절규가 피로 진압된 땅 위로, 새로운 독재자 최충헌(崔忠獻)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졌습니다. 그는 이전의 무신 집권자들과는 달랐습니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