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1년 공민왕의 반원개혁 – 100년의 굴종에 맞선 위대한 저항

   

1351년 공민왕의 반원개혁 – 100년의 굴종에 맞선 위대한 저항 1351년 공민왕의 반원개혁, 100년의 굴종에 맞선 위대한 저항 서기 1350년, 고려는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수 없는 나라였습니다. 약 100년간 이어진 원나라의 간섭은 고려의 모든 것을 갉아먹고 있었습니다. 왕은 원나라 황제의 허락 없이는 옥좌에 앉을 수 없었고, 권문세족들은 원의 권세를 등에 업고 백성의 피를 빨았습니다. 이 깊고 … Read more

1330년, 원나라의 꼭두각시가 된 고려의 왕들

   

1330년, 원나라의 꼭두각시가 된 고려의 왕들 1330년, 원나라의 꼭두각시가 된 고려의 왕들 서기 1330년, 고려의 옥좌는 더 이상 고려인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왕은 원나라 황제의 눈 밖에 나면 하루아침에 폐위되어 머나먼 이국땅으로 끌려갔고, 그 자리에는 또 다른 꼭두각시가 앉혀졌습니다. 충선왕의 개혁이 좌절된 이후,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이라는 거대한 늪에 완전히 빠져들었습니다. 권문세족은 원의 권력을 등에 업고 나라를 … Read more

1308년 충선왕의 개혁 – 원나라의 그늘 아래 좌절된 꿈

   

1308년 충선왕의 개혁, 원나라의 그늘 아래 좌절된 꿈 서기 1300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이 남긴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고려는 원나라라는 거대한 제국의 그늘 아래 신음하고 있었습니다. 왕은 원나라 황제의 사위가 되어야 했고, 정동행성은 여전히 남아 내정을 간섭했습니다. 이 시기, 고려의 정치는 원나라와의 관계에 따라 좌우되었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지배층이 등장하니 바로 ‘권문세족(權門勢族)’입니다. 오늘 이야기는 이 … Read more

1281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비극

   

1281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비극 1281년 여몽연합군의 일본 원정과 고려의 비극 서기 1280년, 30년에 걸친 몽골과의 처절한 전쟁이 끝난 고려의 땅에는 평화가 아닌 새로운 멍에가 드리워져 있었습니다. 고려는 원나라의 부마국(駙馬國), 즉 사위의 나라가 되어 자주성을 잃었고, 대륙을 통일한 원나라 황제 쿠빌라이 칸의 거대한 야망에 희생양이 되어야 했습니다. 몽골의 칼날을 막아내기 위해 싸웠던 고려의 아들들은 … Read more